진경산수화[眞景山水畵]는 조선후기(영조와 정조 임금 시기)에 유행한 우리나라 산천을 소재로 그린 산수화를 말한다.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는 것이다. 눈에 비친 실제 풍경을 그린 대표적인 화가는 겸재 정선이다. 겸재 정선의 더 유명한 작품도 있지만, 여기에서는 한양도성을 그린 것으로만 올려드린다.
이제 겸재 정선의 한양도성 그림들을 구경해보자. 그리고, 그 그림과 실제 한양도성을 비교해보도록 해보자.
출처: 한양도성박물관
☞ 꼭 봐야할 코너 추천
*5번 코너 - 한양도
*7번 코너 - 창의문 사진
*8번 코너 - 창의문 축조
*9번 코너 - 창의문 진경산수화
*10번 코너 - 창의문 진경산수화(장동팔경첩)
*12번 코너 - 새검정도, 동국여도의 연융대도(창의문 밖 탕춘대성의 모습을 그림)
*15번 코너 - 동국여도의 도성도
아래 '겸재가 그린 창의문'으로 입장하세요.
신나는 VR 체험의 시간 되세요.
☞ 정선, 창의문(출처: 국립중앙박물관)
☞ 정선, 세검정도(출처: 국립중앙박물관)
☞ 정선, 인왕제색도(출처: 삼성미술관리움)
☞ 정선, 백악산(출처: 간송미술관)
☞ 정선, 동문조도(출처: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)
☞ 정선, 동소문도(출처:고려대학교박물관)
☞ 옥호정도(개인 소장, 출처: 국립중앙박물관)
☞ 정선, 대은암도(출처: 간송 소장본)
☞ 정선, 대은암도(출처: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)
☞ 정선, 청풍계도(출처: 고려대학교박물관)
☞ 정선, 수성동도(출처: 간송미술관)
☞ 정선, 팔운대도(출처: 간송미술관)
☞ 김윤겸, 천우각 금오계첩(출처: 경기도박물관)
* 알림: 김석환 선생님의 작품들은 ‘내 손 안에 한양도성’ 교육용 자료로만 허락된 것입니다. 무단 복제, 무단 변형, 유통 시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게 됨을 공지합니다.
☞ 숭례문, 종이에 먹(2014)
☞ 흥인지문, 종이에 먹 (2013)
☞ 숙정문2, 종이에 먹 (2019)
☞ 서소문, 종이에 먹 연필 (2019)
☞ 광희문, 종이에 먹 (2019)
☞ 혜화문, 종이에 먹 (2013)
☞ 창의문, 종이에 먹 (2019)
☞ 한양도성 낙산구간, 종이에 먹 (2019)
☞ 한양도성 낙산구간1, 종이에 먹 (2019)
☞ 한양도성 백악구간2, 종이에 먹 (2019)